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석굴암은 일제시대 우체원에 의해 발견됩니다. 


통일신라시대의 엄청난 유물이라는 것을 알고 일본은 대대적인 보수를 시작합니다. 


사진에 보이듯이 경주 남산의 깊은 자락 안에 있던 석굴암이 형편없이 방치된 이유는


고려시대에 불교가 워낙 득세를 하다가 사회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불교에서 시작되었다고 본 


조선시대에 불교를 탄압하는 정책을 씁니다. 


결국 불교는 한순간에 나라를 망치는 종교라는 평가를 가지게 되고 


여러 불교문화재도 방치되는 수모를 당하게 됩니다. 




지금의 석굴암의 모습을 생각한다면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일본은 자신들이 알고있는 지식으로 석굴암을 복원한다고 공사를 시작했지만 


결국 석굴암의 구조를 제대로 파악 못하고 복원하는 바람에 


석굴암 내부에 습기가 차는 상태로 만들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일제시대의 보수공사

일제시대, 1912~1915년에 걸쳐 일제에 의한 대규모 보수공사가 있었다. 첫번째 수복때 석굴암은 붕괴 직전의 상태였다. 천장이 새서 불상에 직접 비를 맞고, 주변의 불상의 배치도 불분명했으며 전체의 반이상이 흙에 파묻혀 있었다. 최초의 보수후에 비가 새는 것이 발견됐고, 그 후의 보수에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일제시대의 복원공사는 석굴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건축원리에 대한 이해가 없는 채로 콘크리트를 덮어버렸기때문에 외면상 수리는 되었지만, 석굴암을 복원불가능한 형태로 파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본존불 아래, 석굴내 지하수가 모여 밖으로 배출되는 수로장치는 일본에는 없는 독특한 장치로, 일본인들이 이것을 막아버렸기 때문에 지하수로 차가워진 돌에 수분이 맺히는 현상이 맺히게 되었다.



해방이후 보수공사

석굴암(石窟庵)은 대한민국 경주시의 토함산 중턱(진현동 891)에 있는 석굴 사찰(石窟寺刹)로서 국보 24호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 경덕왕 10년(751년), 당시 51세였던 김대성이 만들기 시작했고 20여년 후 완성되었다. 신라의 건축과 조형미술이 반영되어 있다. 석굴암의 원래 이름은 ‘석불사(石佛寺)’였으나, ‘석굴’, ‘조가절’ 등의 이름을 거쳐 일제강점기 이후로 석굴암으로 불리고 있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석굴이며, 1913년 이후로 일제가 수차례 해체·조립·수리하기 전까지는 원형을 유지하였다. 현재는 부실 복원에 따른 습도 문제로 유리벽으로 막아 보존되고 있다.

석굴암은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적인 가치와 독특한 건축미를 인정받아 불국사와 함께 1995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 되었다.

해방 이후 혼란한 사회속에서 방치되어오다가, 1961-1963년 문화재관리국의 주도로 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일제가 바른 시멘트로 인해 습도와 온도 유지가 어려워지고, 석굴내에 맺힌 물이 시멘트를 녹여 결과적으로 화강암으로 된 조각상들을 침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의 시멘트 구조물 위에 약간의 공간을 두고 그 위에 돔을 덧씌웠다.

그리고 이때 외부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 유리로 봉인하고, 습기제거장치를 설치했다. 하지만, 이렇게 밀폐된 공간 속에 관람객들이 배출한 이산화탄소와 이물질이 갇혀 화강암을 손상시키는 점이 지적되었다.

1961년에 목조에 기와를 덮은 전실이 설치되었다. 이것 또한 석굴암의 통풍을 막는 요소라고 지적되고 있다.

2011년 현재, 입구는 유리로 봉해져 실내의 습도가 항상 조절되고 있지만, 일반 방문자는 석굴 내부에 들어갈 수 없다.

<위키피디아 발췌>




















대한민국문화유산영상공모전-석굴암 from heritagech on Vimeo.

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불국사 2013년 현재의 모습입니다. 


석가탑과 다보탑중 석가탑에 훼손현황이 심해 2010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직접적인 조사결과를 통해 불국사삼층석탑해체수리 착수를 결정하게 된다.  


본격적엔 해체 복원이 시작되어 복원은 오는 2014년에 마무리 된다고 한다. 















Posted by 쿨쿨구구
,

고려인 전쟁포로가 부른 100년전 '아리랑'


100년 전 전쟁에 끌려간 고려인 2세가 부른 '아리랑'과 이를 녹음한 레코드판이 공개됐다.
4일 경상북도 문경시 옛길박물관에서 시작한 '길 위의 노래, 고개의 노래 아리랑'전(국립민속박물관과 공동기획)에는 97년 전인 1917년 두 명의 한국인이 각각 부른 두가지 아리랑과 이를 수록한 에스피(SP)판 2장이 등장했다. 아리랑연구가 김연갑씨가 올 2월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 부속 자료관인 라우트 아카이브에서 찾아낸 자료로, 이틀 동안 일반에 공개된 뒤 독일로 돌아갈 예정이다. 
아리랑을 부른 한국인은 1차 세계대전 독-러 전투에 러시아 병사로 참전한 고려인 2세인 김 그리고리(한국이름 김홍준, 당시나이 27살)와 안 스테판(한국이름 미상, 당시 나이 29살)으로, 이들은 독일군 포로가 되어 프로이센 포로수용소에 수용 중인 전쟁포로였다.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Posted by 쿨쿨구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