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심체요절과 쿠텐베르크의 금속활자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살펴보자.



Posted by 쿨쿨구구
,

현존하는 언어중 자신 만의 사전을 가진 언어는 현재 20여개 밖에 되지 않는다. 


Posted by 쿨쿨구구
,

언어적 폭력도 폭력의 일종입니다. 


절대 친구들 사이에도 언어적 폭력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Posted by 쿨쿨구구
,



Posted by 쿨쿨구구
,

이 동영상은 2003년 미국의 한 술집에서 일어난 화재를 담은 기록입니다. 

이 화재로 100명이 숨지고 115명이 부상당했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한 사람이 있었던 모든 일을 한 카메라에 담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 영상을 보고 명심해야 할 것은 화재는 몇분을 기다리고 할 시간이 없다는 점입니다. 

화재가 나는 순간 바로 대피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희생자가 될 수 있습니다. 


화재가 나면 비상구를 찾아 이동하고 비상구가 막힐 경우 다른 통로를 확보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어린 학생의 경우 무조건 대피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도록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최대한 몸을 숙여 대피해야 합니다.


가족간에 대피를 할 경우 꼭 약속을 정해 대피 후에 만날 곳을 정해두어야 합니다.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

불이 났다는 사실을 가능한 한 빨리 아는 것이중요합니다.

  • 눈 : 연기가 보이고 따가워져요.
  • 귀 : 사람들의 아우성 소리와 비상 벨소리가 들려요.
  • 코 : 무엇인가 타는 냄새가 나요.
  • 입 : 불이난 것을 알게되면 불이야라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요.
  • 피부 : 뜨거움을 느껴요.

눈, 귀, 코, 입, 피부

[그림 1] 화재는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대피계획 세우기
  • 평소 가정에서 화재 시 대피계획을 세워 두고, 가족과 함께 피난훈련을 실시하세요. 대피계획을 숙지해 두면 불이 났을 때 우리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집 또는 어떤 장소에서든 항상 가까운 비상구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림 2] 비상구는 어디 있을까요?

Posted by 쿨쿨구구
,




1. 냉전 이전까지 미국 및 소련 주도의 핵실험
 
2. 냉전 종료 이후 1993년부터 미소의 핵실험 중단
 
3. 1996년 9월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발표(NPT, 즉 핵확산 금지 조약과 다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등 154개국 서명
    비준해야 하는 국가: 44개국(원자로 사용국가)
    비준에 동의하지 않은 국가 - 미국, 이스라엘, 이란,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이집트, 북한, 파키스탄 총 9개국
    그 때문에 조약이 발효되지 않고 있는 상태
    (2012년 기준 인도네시아 비준 동의, 현재 8개국)
    (미국 및 중국은 비준에 동의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조약 발표 이후 조약 준수에 적극적)
 
4.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이후 임계 이전 핵실험의 주도(미국, 러시아, 프랑스)
   (부시 정권 때 임계 이전 핵실험으로 비난 및 오바마 정권 때 임계 이전 핵실험 통괄 러시아와 금지 협정 체결)
 

5. 위 영상은 1998년이며 이후 이란 2회 및 북한 18회 등 지금까지 등등 비공식 25회 더 추가하면 됩니다.



Posted by 쿨쿨구구
,

보이저 호에 실린 사진들입니다. 


아직 태양계를 벗어나려면 3년이 더 남았습니다만....


언젠가 다른 외계인에게 발견되어서 우리에게 새로운 메세지가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http://voyager.jpl.nasa.gov/


Posted by 쿨쿨구구
,



지구 한바퀴를 도는 영상을 한번 맛보실래요?



Posted by 쿨쿨구구
,



앞으로 우리나라 일식은 4년 남았다. 


Posted by 쿨쿨구구
,



1931년 일제 강점기 조선의 모습입니다. 


석굴암, 인왕산, 불국사 청운교와 백운교가 보입니다. 


허물어진 석빙고와 분황사 석탑, 성덕대왕 신종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31년 누군가가 조선으로 수학여행을 오면서 16mm 카메라로 촬영한 것을 박물관에 기증하게 되면서 


많은 이들에게 공개되었습니다. 




경주 괘릉 석인상 앞으로 지나가는 도포쓴 사람




경주 괘릉의 모습



경주시내 모습, 옛날 일제 강점기 조선의 모습을 어느정도 알 수 있다.



불국사로 들어가는 일본 관광객의 모습, 이때는 난간이 없다. 



일제시대 명동거리의 모습



일제시대 남대문의 모습






일제시대 동대문의 모습




많은 자료가 공개되면서 일제시대의 모습을 어느정도 알수 있습니다. 


Posted by 쿨쿨구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