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대해 하나씩 가르칠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다양한 내용을 가르칠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평소에 쓰는 방식을 따라가기로 했다.
활용을 가르치기보다 그 역사에서 찾아들어가는 방식을 쓰려한다.
좋은 교사란 기술이 아니라 기술의 역사와 흥미 그 개념을 쉽게 설명할수 있어야 한다.
컴퓨터에 대해 하나씩 가르칠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다양한 내용을 가르칠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평소에 쓰는 방식을 따라가기로 했다.
활용을 가르치기보다 그 역사에서 찾아들어가는 방식을 쓰려한다.
좋은 교사란 기술이 아니라 기술의 역사와 흥미 그 개념을 쉽게 설명할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이 비무장지대와 국경에 대한 의식이 별로 없어서
설명이 필요함을 느꼈다.
그리고 이번 5학년은 질문을 참 착실히 한다.
궁금함이 많은 5학년.... 정말 오랜만에 만나본다.
알고 싶고 무엇인지 궁금하고 질문이 샘솟는 학급이 만들어지고 있다.
내가 더 열심히 해야한다는 이야기이다.
아침에 일어나 체력이 있을 때 한두개씩 만들어본다.
학급임원선거에 대한 아이들의 인식은 부모에게서 온다.
필요없는것 어릴적에 감투를 쓰는 것이라는 생각은 부모의 정치의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아이들이 민주주의의 기본을 연습하는 한 과정으로 나는 보고싶다.
물론 이번에도 그렇게 될지는 확답하지 못하겠다.
사회 5-1 1-3 국토에 대해 알아봅시다. 영토 분쟁.pptx
국토에 대한 내용을 하면서 국토 분쟁에 대한 내용을 하게 된다.
중국의 영토분쟁에 대한 내용을 넣으면서 우리에게 있는 이어도에 대한 환상도 같이 이야기 하게 된다.
과연 중국의 영토 분쟁을 우리가 욕할 수 있을까?
모든 국가는 자신의 이익을 위주로 움직여야 한다고 본다.
그 정도가 심한게 문제이겠지만 모든 국가는 자신의 힘을 넓히고 싶다.
국제분쟁에 예외가 없음을 아이들에게 이야기하고 자신이 이것을 어떻게 바라볼지도 서로 이야기 해봐야 한다.
사회 5학년 1학기 01-02차시 우리 국토의 모습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위치 찾아보기.pptx
사회가 어려운건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하나 하나씩 가르치려니 정말 시간이 많이 든다.
어쩌겠는가 많이 만들어서 해결을 하는 방법 뿐이다.
올해는 많은 단어를 만들어서 아이들이 그 단어에 익숙하게하는 방법을 사용할 예정이다.
나부터 더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한다.
5
5
하하
시를 가르치면서 제일 큰 문제점은 아이들이 시에 대한 감응이 없다는 점이다.
시는 배우고자 하는 순간 시험 문제의 한부분이 되는 것 같다.
나는 인간의 특성으로 풀어보았다.
대신...
아이들이 희노애락의 한 부분으로 시를 받아들이길 바라며 내일 수업을 기대한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